LMO 안전관리 분야의 1973년 이후 배경 및 역사
1970~80년대 1974년 안전성 문제제기 : 버그(Science, VOL.185)
1976~1988년 rDNA에 대한 지침 및 규제 마련
1990년대 1990년 유전자변형생물체의 의도적 방출에 관한 EU 이사회 지침 채택
1992년 의제 21채택 (유엔환경개발회의)
1993년 생물다양성 협약(CBD) 발효
1994년 1차 CBD 당사국총회
1995년 2차 CBD 당사국총회
1996년 1차 BSWG(의정서 작성을 위한 실무작업반 회의)
브라질 넛 상품화 실패, 3차 CBD 당사국총회
1998년 4차 BSWG
4차 당사국총회
5차 BSWG EU의 모라토리엄 선언
2000년대 2000년 1차 정부 간 위원회
스타링크 사건
바이오안전성의정서 채택
2001년 2차 정부 간 위원회
멕시코 옥수수GM오염 문제
LMO법률 제정ㆍ공포
2003년 미국, EU의 LMO 수입 금지조치 WTO에 제소(5월 20일)
바이오안전성의정서 발효(9월11일)
2004년 EU, LMO 고유 식별자 kroqkf을 위한 체제 설정
제1차 바이오안전성의정서 당사국 총회(COP/MOP-2)
LMO법률 시행령 확정(9월 30일)
2005년 미국, 미승인 GM옥수수 (Bt10) 유통
제2차 바이오안전성의정서 당사국총회(COP/MOP-2)
LMO법률 시행령 확정(9월 30일)
2006년 제3차 바이오안전성의정서 당사국총회 (COP/MOP-3)
GM작물 재배 면적 1억200만 ha
(전세계 22개국, 1,030만 농가에서 재배)
2007년 제3ㆍ4차 의무준수위원회 (3월, 11월)
한국, 바이오안전성의정서 비준(10월 3일)
제4차 책임 및 복구에 관한 작업반회의(10월)
2008년 MO법률 발효(1월1일)
2009년 제1차 LMO 안전관리계획 공고
2010년 제5차 바이오안전성의정서 당사국회의(COP/MOP-5)
독일 헌법재판소, GM작물법 지지
2011년 페루, 10년간 GM금지령
불가리아, 미표시 GM사료 유통
2012년 LMO법률 개정안 공포(12월11일)
몬산토, GM종자 판매 중단
2013년 LMO법률 발효(12월12일)
미국, 미승인 GM밀 발견
2014년 LMO법률 통합고시 개정안 시행(7월30일)
제7차 바이오안전성의정서 당사국회의(COP/MOP-7)
대만, GM식품 의무 표시제 개정